본문 바로가기
[Java Concurrency] 객체공유 [Java Concurrency] 객체공유 3.1. 가시성 - 일반적으로 특정 변수의 값을 가져갈 때 다른 스레드가 작성한 값을 가져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고, 심지어는 값을 읽지 못 할 수도 있다. 메모리상의 공유된 변수를 여러 스레드에서 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반드시 동기화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 재배치(reordering) 현상을 조심해야 한다. 재배치 현상은 특정 메소드의 소스코드가 100% 코딩된 순서로 동작한다는 점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 기인하는 문제이다. 단일 스레드로 동작할 때는 차이점을 전혀 알아챌 수 없지만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확연하게 나타날 수 있다. - 동기화 기능을 지정하지 않으면 컴파일러나 프로세서, JVM 등이 프로그램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를 임.. 2017. 4. 17.
[Effective Java] 직렬화된 인스턴스 대신 직렬화 프록시의 사용을 고려하자. [Effective Java] 직렬화된 인스턴스 대신 직렬화 프록시의 사용을 고려하자. -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는 결함과 보안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정상적인 생성자 대신 언어 영역 밖의 메커니즘을 사용해서 인스턴스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그런 위험을 현저히 줄이는 방법이 직렬화 프록시 패턴(Serialization proxy pattern) 이다. - 직렬화 프록시 패턴은 직렬화 가능 클래스의 private static 중첩 클래스를 설계한다. 직렬화 프록시(serialization proxy) 라고 하는 inner 클래스는 외곽 클래스를 매개 변수 타입으로 하는 단일 생성자를 갖는다. 그리고 이 생성자는 자신의 인자로부터 데이터만 복사한다. 일관성 검사나 방어 복사도 할.. 2017. 3. 28.
[Effective Java] 인스턴스 제어에는 readResolve 메소드보다 enum 타입을 사용하자. [Effective Java] 인스턴스 제어에는 readResolve 메소드보다 enum 타입을 사용하자. - readResolve 메소드는 readObject 메소드에서 생성한 인스턴스를 다른 인스턴스로 바꾸어준다. 만일 역직렬화되는 객체의 클래스에서 readResolve 메소드를 올바르게 정의하면 그 객체가 역직렬화된 후 그 결과로 새롭게 생성된 객체에 대해 이 메소드가 자동 호출되며, 이 메소드에서 반환하는 객체 참조가 역직렬화로 새롭게 생성된 객체 대신 반환된다. - 싱글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싱글톤을 유지할 수 있다. private Object readResolve(){// Deserialization 으로 생성된 새로운 녀석은 GC 된다.return INSTANCE;} - readRe.. 2017. 3. 27.
[Effective Java] 방어 가능한 readObject 메소드를 작성하자 [Effective Java] 방어 가능한 readObject 메소드를 작성하자 - Serializable 하게 만들고 싶은 class 의 물리적 표현과 논리적 표현이 같다고 해도, 무조건 implements Serializable 을 붙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readObject 는 바이트 스트림 인자 하나만 받는 생성자라고 볼 수 있는데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이상한 바이트 스트림을 제공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readObject 메소드를 만들고, defaultReadObject() 를 수행 후, 역직렬화되는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해야 한다. 만일 유효성 검사에 실패하면, readObject 메소드에서 InvalidObjectException 예외를 발생시켜야 한다. - 위의 방법으로 유효성.. 2017. 3. 24.
[Effective Java] 스레드 안전을 문서화 하자. [Effective Java] 스레드 안전을 문서화 하자. - 클래스 행동을 문서화하지 않으면, 프로그래머는 가정에 의존해서 그 클래스를 사용해야 한다. 만일 그런 가정들이 잘못되면, 그로 인한 프로그램은 불충분한 동기화나 과도한 동기화를 하게 될 것이다. 어떤 경우든, 심각한 에러가 유발될 수 있다. - 메소드 선언부의 synchronized 변경자는 메소드의 상세 구현 부분이지 외부로 제공되는 API 가 아니다. 즉 Javadoc 에 synchronized 가 공개되지 않는다. synchronized 변경자가 있다는 것이 스레드 안전을 문서화하기에 충분한 것은 아니다. 동시적 사용을 안전하게 하려면, 해당 클래스가 어떤 수준의 스레드 안전을 지원하는지 명확하게 문서화해야 한다. - 다음은 스레드 안전.. 2017. 3. 14.
[Effective Java] 공유하는 가변 데이터에 접근 시 동기화하자. [Effective Java] 공유하는 가변 데이터에 접근 시 동기화하자. - 동기화를 하지 않으면, 하나의 스레드에서 변경한 내용을 다른 스레드에서 못 볼 수 있다. 동기화는 불안정 상태의 객체를 스레드가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동기화된 메소드나 블록에 진입하는 각 스레드가 앞에서의 모든 변경(같은 락으로 보호되었던)이 반영된 결과를 볼 수 있게 해준다. - 자바 언어 명세에서는 long 이나 double 타입이 아닌 변수의 값을 읽거나 쓸 때는 원자성을 보장한다. long 이나 double 타입이 아닌 변수의 값을 읽으면 어떤 스레드가 그 변수에 저장했던 값을 반환 받을 수 있다는 것. 실제로 동기화하지 않고 여러 스레드가 그 변수를 동시에 수정해도 그때그때 수정된 값이 반영된다. 스레드가 .. 2017. 3. 7.
[Effective Java] 객체 참조는 그 객체의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하자 [Effective Java] 객체 참조는 그 객체의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하자 - 객체를 참조할 때는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만일 적합한 인터페이스 타입이 있다면, 매개 변수, 반환 값, 변수, 필드 모두 다 인터페이스 타입을 사용해서 선언해야 한다. 유일하게 객체의 클래스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생성자에서 객체를 생성할 때이다. - 인터페이스를 객체의 타입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면, 프로그램이 훨씬 더 유연해진다. - 인터페이스의 구현체(클래스)를 변경하고자 하는 이유는, 새로 변경한 구현체가 더 좋은 성능을 내는 경우가 많다. - 만일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없다면, 객체를 참조하는 타입을 인터페이스 대신 클래스로 하는 수밖에 없다.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는 보통 fina.. 2017. 2. 9.
[Effective Java] 필요하면 방어 복사본을 만들자. [Effective Java] 필요하면 방어 복사본을 만들자. - 자바는 꽤나 안전한 언어이지만, 우리 클래스의 클라이언트가 불변 규칙을 파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거라는 가정하에 방어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 가변 객체인 매개 변수는 각각의 방어복사본(defensive copy)을 만들어서 생성자에 전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여러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방어복사본은 매개 변수의 유효성 검사에 앞서 만들어야 하며, 유효성 검사는 원본이 아닌 복사본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 TOCTOU 공격 ( 검사시간/사용시간) 이슈 ) - clone 은 위험한 복사방법이므로 가급적이면 다른 방법으로 복제하자. final 이 아닌 Class 는 sub class 가 clone 을 상속.. 2017. 1. 10.
[Effective Java] int 상수 대신 enum 을 사용하자. [Effective Java] int 상수 대신 enum 을 사용하자. - int enum pattern 이라고 불리는 int 를 이용한 분기는 단점이 많다. - 타입 안전을 보장하지도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하지 않는다. 즉 취약하다. - int enum 상수를 출력 가능한 문자열로 쉽게 바꾸는 방법도 없다. - 하나의 int enum 그룹에 있는 모든 상수를 loop 처리하거나, 그룹 사이즈를 알 수 있는 좋은 방법도 없다. - int enum 패턴의 변이로 String enum 패턴이 있는데 더더욱 바람직하지 않다. print 하는 부분에서는 좋지만, 문자열 비교에 의존하여 성능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필드명 대신 string 상수 값을 클라이언트 코드에.. 2016.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