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놀이터

[책 정리] 농산물 우수관리제(GAP)의 필요성과 한계 - 식탁을 엎어라

by 돼지왕 왕돼지 2020. 9. 25.
반응형

농산물 우수관리제(GAP)의 필요성과 한계

-
농산물우수관리제(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는 생산농가 단위에서 지켜야 할 우수농작법 규범이다.
HACCP 은 주로 축산물의 생산, 도축 및 가공에 활용되는 반면 GAP는 채소와 과일을 중심으로 한 농산물 생산에 적용된다는 점이 다르다.
생산부터 수확 후 포장 단계까지 각종 위해요소를 종합적으로 관리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좋은 농산물을 만들자는 것이 GAP 제도 운용의 궁극적 취지다.


-
화학적 위해요소 가운데 허용 기준치 이상의 잔류농약과 중금속, 환경호르몬 등은 소비자 식탁을 어지럽히는 주범이다.


-
GAP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는 EU 를 비롯해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등과 아시아의 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 아프리카의 케냐 등이다.
이들 나라는 정부 또는 민간 차원에서 GAP 을 운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EU 는 GAP 에 관한 한 앞서가는 지역이다.


-
EU 소비자 요구에 맞춘 안전 농산물 생산기준인 EUREPGAP 은 국제적으로도 공신력을 인정받아 주요 수출국들이 이를 충족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국가들이 유럽 유통업자들의 요구에 따라 EUREPGAP 을 준수하면서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EU 는 생산자 조직과 유통업체간 계약시 흔히 GAP을 기준으로 삼으며, 계약을 위반할 때는 위약금 등으로 제재한다.


-
일본은 유럽으로 각종 고급 농산물을 수출하는 과정에서 EUREPGAP의 영향으로 GAP가 발달한 나라다.

소비자가 i-mode 란 모바일폰을 통해 농장의 생산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중국은 자국식품에 대한 불신이 2007년 미국 곳곳의 대형 할인점에서 '차이나 프리(China Free)' 현상을 초래한 이후 GAP 을 강화하는 분위기다.
GAP 는 유통업체 주도형, 기업체 주도형, 생산자 주도형, 정부 주도형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유통업체 주도형은 EUREPGAP,
기업체 주도형은 코카콜라, 네슬레, 돌 등
생산자 조직이 발달한 일본은 생산자 주도형,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와 케냐는 정부주도형 GAP 제도가 발달했다.


-
GAP 관리기준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농산물 이력추적시스템(Traceability System) 실시다.
GAP 관리제도에서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생산, 가공 및 유통의 전 단계에서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
이 모든 단계에서의 사항들을 기록해 정보화함으로써 안전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신속히 규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이 이력추적시스템이다.
따라서 이력추적 관리는 GAP 의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