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Concurrency] 활동성 최대로 높이기 #2 [Java Concurrency] 활동성 최대로 높이기 #2 10.2. 데드락 방지 및 원인 추적 - 한 번에 하나 이상의 락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락의 순서에 의한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은 방법일 수 있지만, 가능하다면 한 번에 하나 이상의 락을 사용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 여러 개의 락을 사용해야만 한다면 락을 사용하는 순서 역시 설계 단계부터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설계 과정에서 여러 개의 락이 서로 함께 동작하는 부분을 최대한 줄이고, 락의 순서를 지정하는 규칙을 정해 문서로 남기고 그 규칙을 정확하게 따라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 세세한 수준에서 락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는 두 단계의 전략으로 데드락 발생 가능성이 없는지를 확.. 2017. 5. 2.
[Java Concurrency] 활동성 최대로 높이기 #1 [Java Concurrency] 활동성 최대로 높이기 #1 - 안정성(safety)와 활동성(liveness) 사이에는 밀고 당기는 힘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스레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락을 사용하곤 하는데, 락이 우연찮게 일정한 순서로 동작하다 보면 락 순서에 따라 데드락이 발생하기도 한다. 시스템 자원 사용량을 적절한 수준에서 제한하고자 할 때 스레드 풀이나 세마포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동작하는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 더 이상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는 또 다른 형태의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다. - 자바 어플리케이션은 데드락 상태에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프로그램의 실행 구조상 데드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10.1. 데드락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017. 5. 1.
[Java Concurrency] GUI 앱 [Java Concurrency] GUI 앱 9.1. GUI 는 왜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는가?- 대부분의 GUI 프레임웍이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도록 돼 있다. GUI 프레임웍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많았지만, 대부분 경쟁 조건(race condition)과 데드락(deadlock) 등의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했다. 대부분의 프레임웍이 이벤트 처리용 전담 스레드를 만들고, 전담 스레드는 큐에 쌓여 있는 이벤트를 가져와 앱에 준비돼 있는 이벤트 처리 메소드를 호출해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일 스레드 이벤트 큐 모델에 정착한 셈이다. - 단일 스레드 GUi 프레임웍은 스레드 제한 기법으로 스레드 안전성을 보장한다. * 9.1.1. 순차적 이벤트 처리 -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단점.. 2017. 4. 28.
[Java Concurrency] 스레드 풀 활용 [Java Concurrency] 스레드 풀 활용 8.1. 작업과 실행 정책 간의 보이지 않는 연결 관계 - 일정한 조건을 갖춘 실행 정책이 필요한 작업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의존성이 있는 작업 스레드 한정 기법을 사용하는 작업 응답 시간이 민감한 작업 ThreadLocal 을 사용하는 작업 - 스레드 풀은 동일하고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 특정 작업을 실행하고자 할 때 그에 맞는 실행 정책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고, 특정 실행 정책 아래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른 작업에 의존성이 있는 작업을 실행해야 할 때는 스레드 풀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잡아서 작업이 큐에서 대기하거나 등록되지 못하는 상황이 없도록 해야 한다. 스레드 한정 기법을 사용하는 작업.. 2017. 4. 27.
[Java Concurrency] 중단 및 종료 #2 [Java Concurrency] 중단 및 종료 #2 7.3. 비정상적인 스레드 종료 상황 처리 - 스레드를 예상치 못하게 종료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RuntimeException 이다. RuntimeException 은 대부분 프로그램이 잘못 짜여져서 발생하거나 기타 회복 불가능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try_catch 구문으로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RuntimeException 은 호출 스택을 따라 상위로 전달되기보다는 현재 실행되는 시점에서 콘솔에 스택 호출 추적 내용을 출력하고 해당 스레드를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 - 스레드 풀에서 사용하는 작업용 스레드나 스윙의 이벤트 처리 스레드와 같은 작업 처리용 스레드는 항상 Runnable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남이 정의하고.. 2017. 4. 26.
[Java Concurrency] 중단 및 종료 #1 [Java Concurrency] 중단 및 종료 #1 - 작업이나 스레드를 안전하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멈추게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자바에는 스레드가 작업을 실행하고 있을 때 강제로 멈추도록 하는 방법이 없다. 대신 인터럽트(interrupt)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인터럽트는 특정 스레드에게 작업을 멈춰달라고 요청하는 형태이다. 실제 상황에서 특정 스레드나 서비스를 "즉시" 멈춰야 할 경우는 거의 없고, 강제로 종료하면 공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스레드 간의 협력을 통한 접근 방법이 올바르다. 다시 말해, 작업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는 부분의 코드를 작성할 때 멈춰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진행 중이던 작업을 모두 정리한 다음 종료하도록.. 2017. 4. 25.
[Java Concurrency] 작업 실행 [Java Concurrency] 작업 실행 - 앱이 해야 할 일을 "작업"이라는 단위로 분할하면 프로그램의 구조를 간결하게 잡을 수 있고, 트랜잭션의 범위를 지정함으로써 오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작업 실행 부분의 병렬성을 자연스럽게 극대화 할 수 있다. 6.1. 스레드에서 작업 실행 - 프로그램에서 일어나는 일을 작업이라는 단위로 재구성하고자 한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작업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할 것인지 정하는 일이다. 원론적으로 보자면 작업은 완전히 독립적인 동작을 말한다. 독립성이 갖춰져 있어야 병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작업을 스케쥴링하거나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을 하고자 할 때 폭넓은 유연성을 얻으려면 각 작업이 앱의 전체적인 업무 내용 가운데 충분히 작은 부분을.. 2017. 4. 24.
[Java Concurrency] 구성 단위 #2 [Java Concurrency] 구성 단위 #2 5.4. 블로킹 메소드, 인터럽터블 메소드 - 스레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블록 당하거나, 멈춰질 수 있다. 스레드가 블록되면 동작이 멈춰진 다음 블록된 상태(BLOCKED, WAITING, TIMED_WAITING) 가운데 하나를 갖게 된다. 블로킹 연산은 단순히 실행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반 연산과는 달리 멈춘 상태에서 특정한 신호를 받아야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연산을 말한다. ( I/O 작업 끝나기를 기다리거나, 기다리던 락을 확보하거나, 다른 스레드의 작업 결과를 받아오는 등의 신호 ) - Thread 클래스는 해당 스레드를 중단시킬 수 있도록 interrupt 메소드를 제공하며, 해당 스레드에 인터럽트가 걸려 중단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 2017. 4. 21.
[Java Concurrency] 구성 단위 #1 [Java Concurrency] 구성 단위 #1 5.1. 동기화된 컬렉션 클래스 - 동기화되어 있는 컬렉션 클래스의 대표 주자는 Vector 와 Hashtable 이다. - JDK 1.2 부터는 Collections.synchronizedXxx 메소드를 사용해 이와 비슷하게 동기화되어 있는 몇 가지 클래스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같은 클래스는 모두 public 으로 선언된 모든 메소드를 클래스 내부에 캡슐화해 내부의 값을 한 번에 한 스레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면서 스레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 동기화된 컬렉션 클래스는 스레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여러 개의 연산을 묶어 하나의 단일 연산처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항상 발생한다. - 동기화된 컬렉션 클래스는 대.. 2017.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