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정리] 모든 갈등은 관계 맺기에서 시작된다. - 법륜 스님의 행복 (우리는 가까운 사람일수록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마음이기를 바란다) - 애별리고와 원증회고가 있다. 애별리고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고통이고, 원증회고란 미운 사람과 만나는 고통이다. - 우리는 흔히 관계 때문에 괴로움이 생겼으니 그 관계를 끊어버리면 문제가 해결될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다고 행복해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외롭고 괴롭다. 괴로움은 관계를 맺어도 생기고 그 관계를 끊어도 생긴다. 행복하려고 맺은 관계가 괴로움을 일으키는 것은 관계의 문제가 아니라 관계가 잘못 맺어졌기 때문이다. - 우리가 겪는 모든 관계의 갈등은 서로 다르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성격, 종교, 지역, 습관 등이 달라서 실망하고 괴로움이 생기는 것이다. 사람의 생각도 마찬가지이다. 저마다 다르다. 그런데 우리는 가까운 사람일수록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마음이기를 바란다. 그러다보니 상.. 2020. 1. 26.
[책 정리] 만들어진 습관은 고칠 수 있다. - 법륜 스님의 행복 (무의식을 바꾸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 우리의 말과 행동은 생각이나 의지보다 무의식인 마음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다. - 일반적으로 무의식은 의식적인 것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자기가 아주 좋은 일이나 마음 깊이 와닿는 일일 때만 영향을 준다고 보면 된다. 어떤 굳은 결심을 하더라도 무의식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 생각은 오래가지 못한다. 그리고 아무리 생각이 바뀌어도 무의식이 바뀌지 않으면 행동이 잘 변하지 않는다. - 무의식을 바꾸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의지가 아주 강력하다면, 절대로 변할 것 같지 않던 자신의 오래된 업식인 카르마를 변화시켜 나아갈 수 있다. 다만 변화를 기대하기 전에 카르마가 쉽게 바뀌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는 걸 알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시행착오가 따를 수도 있고.. 2020. 1. 25.
[책 정리] 마음은 생주이멸 - 법륜 스님의 행복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 마음은 변하게 마련이다. 그게 마음의 성질이다.) - 한 가지 생각이 일어나면 계속 머물러 있을 것 같지만 이내 흩어지고 사라져버려요. 이것을 '생주이멸'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상대의 마음이 한결같기를 바라지만 사실은 불가능한 기대입니다. '죽을 때까지 서로 사랑하자'고 아무리 굳게 약속을 해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 마음은 변하게 마련이에요. 이게 마음의 성질입니다. 그런데 이런 성질을 알지 못한 채 마음이 변하지 않기를 바라니까 그렇게 되지 않으면 괴로워지는 거예요. 마음은 매 순간 끊임없이 일어났다 사라집니다. 그래서 '이것이 마음이다' 하고 내놓을만한 실체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기쁘다, 슬프다, 두렵다, 외롭다 하는 갖가지 마음에 집착해서 걱정과 근심을 합니다. - 마음의 성질이 원래 꾸준하지 않습니다. .. 2020. 1. 24.
[책 정리] 열등감과 우월감은 뿌리가 같다. - 법륜 스님의 행복 (열등감 우월감 모두 남과의 비교에서 생겨나는 현상) - 길다느니 짧다느니 하는 것은 존재의 객관적 실재 같지만 사실은 인식의 문제입니다. - 열등감이나 우월감은 모두 삶의 기준을 타인에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내 삶을 내가 산다는 주인의식 없이, 내 삶을 남과 비교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그래서 열등감과 우월감은 뿌리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열등감은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미달해서 느끼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세워놓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해서 생기는 괴로움이에요. - 이 세상에는 열등한 존재도 우월한 존재도 없습니다. 존재는 서로 다를 뿐이에요. - 능력이라는 것도 시대에 따라 무엇을 평가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겁니다. - 존재는 다만 다를 뿐이라는 것을 알아서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열등감과 우월.. 2020. 1. 23.
[책 정리] 불안은 미래에 대한 집착에서 온다. - 법륜 스님의 행복 (인생에 의미를 너무 많이 부여하기 때문에 불안하고 초조하고 괴로운 것) -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과거를 붙잡고 괴로워할 뿐만 아니라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를 미리 걱정하고 불안해합니다. 미래는 오지 않았고 실현되지 않은 시간이에요. 그런데도 사람들은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는 미래 때문에 걱정하고 두려워합니다. - 술과 담배를 안 하는 사람에게는 더 좋은 술, 더 좋은 담배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마찬가지로 아무리 사람들이 돈을 태산같이 쌓고 지위를 높여가도 그것이 내가 가야 할 행복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그것을 쳐다보고 불안해 할 아무런 이유가 없어요. - 풀이 한 포기 자라고, 토끼 한 마리가 나듯이 사람도 태어나서 자연의 일부로 살다 떠나는 겁니다.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산다고 해서 인간의 존엄성을 떨어뜨리는 것도, 자연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도 아니에요.. 2020. 1. 22.
[책 정리] 후회는 지나간 실수에 매달리는 것 - 법륜 스님의 행복 (후회는 '잘난 나'가 마음속에 있기 때문이다) - 우리가 후회할 때는 과거에 저지른 잘못에 대한 반성도 있지만, 자신의 실수를 자신이 용납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괴로움이 더 큽니다. - '나는 그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야 할 훌륭한 인간인데, 내가 그런 잘못을 저질렀다' 는 사실을 용납할 수가 없는 거예요. 이렇게 '잘난 나'라는 게 마음속에 있기 때문에 후회를 하는 겁니다. - 남을 용서 못하는 게 미움이라면 자기를 용서 못하는 게 후회입니다. 후회는 반성이 아닙니다. 후회는 '내가 잘났다' 하는 것을 움켜쥐고 있기 때문에 하는 거예요. '나처럼 잘난 인간이 어떻게 바보처럼 그 때 그걸 못했을까?' 이게 후회에요. 그러나 이제라도 그때 그런 수준이 나라는 걸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됩니다. 정말 반성을 했다면 '아, 그 때 내가 잘못했구나' 하고 깨달.. 2020. 1. 21.
[도서 정리] 과거의 상처를 인생의 자산으로 만드는 법 - 법륜 스님의 행복 (과거는 이 순간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 상처를 준 사람은 별로 없는데, 상처받은 사람은 부지기수로 많아요. - 우리의 괴로움은 주로 과거에 대한 기억에서 비롯됩니다 옛날에 누군가에게 서운했던 일, 누구한테 해코지 당했던 일을 떠올리면서 괴로워합니다. 이미 지나가버린 일들을 사진이라도 찍어둔 듯 마음속에 고이 간직한 채 그 잔영에 집착하고 매달려서 스스로 고통을 확대하고 재생산하는 것이지요. 스스로를 어둠의 동굴에 가두는 꼴입니다. - 과거는 내 생각 속에 있을 뿐이지, 지금 이 순간 실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 결국 모든 상처는 그 기억을 붙들고 있는 나의 마음속에 있습니다. 우리가 괴로운 것은 누가 상처를 줘서가 아니에요. 상처받을 일이 아닌데 상처받고, 그 상처를 내면에 품고 있다가 때때로 꺼내 보면서 괴로워하기 때문입니다. 2020. 1. 20.
[책 정리] 상대의 말에 되받아치지 못해 억울하다면 - 법륜 스님의 행복 (진짜 현명한 사람은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것보다 차라리 상처받는 게 더 낫다는 것을 안다) - 먼저 어떤 일을 당했을 때 그 순간에 적절한 말이 떠오르기를 바란다면 그 상황에 빠져들지 말아야 합니다. 누군가와 대립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말이 떠오르지 않는 것은 그 순간 화가 나거나 미워지거나 괴롭거나 불안감에 사로잡혀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고, 보이지 않기 때문이에요. - 대응할 말을 찾는 것은 상대를 이기고 싶다는 뜻입니다. - 내 가슴에 못이 박히면 내가 깨닫고 뉘우치면 되는데, 남의 가슴에 못을 받는 말을 하면 내가 참회하고 뉘우친다고 소멸되지 않습니다. - 진짜 현명한 사람은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것보다 차라리 상처받는 게 더 낫다는 것을 압니다. 그래야 괴로움에서 더 빨리 벗어날 수 있으니까요. - 자유롭게 살고 싶다면 상대를 이기려는 생각, 미운 상대에게 적절한 말로 되받아치고 싶다는 .. 2020. 1. 19.
[책 정리] 참지도 성내지도 않는 제 3의 길 - 법륜 스님의 행복 (화가 나는 이유는 나 자신 때문이란걸 인지하면 화가 일어나지 않는 단계에 이를 수 있다) - 우리는 화가 날 때 보통 두 가지 행동을 합니다. 즉 화를 내거나 참지요. 그러나, 화를 내지도, 참지도 않는 제3의 방법이 있습니다. - 화가 난다고 화를 다 내어버리면 상대도 덩달아 화를 내기 때문에 화를 더 확대생산하게 되니 이 방법은 하수입니다. 반대로 화를 참는 것은 갈등을 확대 재생산 하지는 않지만 참으면 자기가 스트레스를 받아 병이 드니 이 역시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 화가 일어나는 그 근본을 살펴 알게 되면 아예 화가 일어나지 않는 단계에 이를 수 있습니다. - 자기 감정의 근원에 문제제기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감정에 휩쓸리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해보면 화낼 일이 아니란 걸 알 수 있어요. 화를 돋우는 건 아이도, 배우자도, 직장 상사도 아니고, 바로 나 자신 때문입니다. 내 의.. 2019.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