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정리] 의지하는 마음은 원망하는 마음의 씨앗 - 법륜 스님의 행복 (누군가에게 의지한다는 것은 상대의 태도에 따라 내 삶이 흔들린다는 의미) - 부부 사이는 외로울 때 서로 의지처가 되어 좋지만, 지나치게 의지하면 서로에게 무거운 짐이 돼 버린다. 그러다보면 결혼이 속박으로 느껴진다. 결혼 자체가 구속이 아니라 상대에게 지나치게 의지하기 때문에 속박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 누군가에게 의지한다는 것은 상대의 태도에 따라 내 삶이 흔들리게 된다는 뜻이다. - 우리가 말하는 사랑은 보통 상대에게 의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상대를 사랑하면서도 홀로 설 수 있어야 진정한 사랑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오히려 상대에게 도움을 주고 의지처가 되어주겠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자기중심 없이 희생하는 사랑은 기대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원망하는 마음으로 이어진다. - 사랑하기 때문에 철천지원수가 되고, 기대하고 의지하는 마음이 사랑을 .. 2020. 2. 4.
[책 정리] 책임감으로 살면 인생이 공허해진다. - 법륜 스님의 행복 (가족을 위해서 내가 헌신하는 것인지, 내가 혼자 사는 것보다 가족이랑 살아서 좋은 것인지 생각해보자) - 부모가 되어 자식을 키울 때 키우는 재미를 마음껏 누렸다면, 자식이 다 커서 효도를 하지 않아도 조금도 서운하지 않을 것이다. 자식을 키우는 동안 부모로서 이미 기쁨을 누렸기 때문에 아이에게 사랑을 베풀었다는 생각도 없다. 그러니 그 자식이 독립해 제 가정을 잘 건사하는 것만으로도 부모는 행복하고 고맙게 여긴다. 반면에 아무리 부모라도 자신도 모르게 '내가 키웠다' 하는 생각을 가지면 자식에게 실망해서 괴로움을 자초할 수 있다. - 인생을 책임감으로 살면 본인은 열심히 산다고 하지만, 돌아보면 인생 전체가 허무하고 공허하게 느껴지기 쉽다. - '가족을 위해서 내가 헌신한다.' '아이들을 위해서 내가 희생한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의 마음속에는 사명감이 있다. 사명감을 가지면 어깨가 무거워진다. 이럴 때.. 2020. 2. 3.
[책 정리] '기브 앤 테이크'는 거래지, 관계가 아니다. - 법륜 스님의 행복 (사랑하는 마음이 미움이 되고 실망하는 마음으로 바뀌는 것은 준 만큼 받고 싶어하는 내 마음 때문) - 서로 주고받는다는 뜻의 '기브 앤 테이크'라는 말이 있다. 이것이 관계에서는 공평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거래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상대를 위해 이런저런 일을 해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자꾸 대가를 바라게 되고, 바라는 그 마음이 채워지지 않으면 괴로워진다. 더군다나 상대가 원하는 걸 해주는 것도 아니고 자기 생각에 좋아 보이는 걸 해주면서 '내가 너를 위해 이렇게 애쓰고 있다.'는 생각에 빠지면 갈등은 피하려야 피할 수가 없다. - 내가 좋아서 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대가를 바라면 그때부터는 원수가 되기 쉽다. 바라는 그 마음이 채워지지 않으면 섭섭한 마음이 쌓이고 갈등이 불거진다. - 가까운 사이에 갈등이 생기는 것은 사랑을 준 만큼 받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사랑을 주면 받을 확률은 높지.. 2020. 2. 2.
[책 정리] 대부분의 관계는 이기심에서 시작된다. - 법륜 스님의 행복 (내가 보기에 못마땅해서가 아니라 그 사람을 위하는 마음으로 고치도록 해보는 것은 괜찮다) - 사람은 대부분 이기적이다. 그래서 누구나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관계를 맺으려고 한다. 우리는 누군가와 특별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고 할 때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이기심이 작용한다. - 인간관계에는 이기심이 숨어 있게 마련이라 한두번 만날 때는 별문제가 없는 것 같다가도 시간이 흐르면 서서히 갈등이 생겨나게 된다. - 이기심을 갖고 누군가를 만나는 것 자체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게 이기심을 갖고 인간관계를 맺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내가 이익을 따져서 사람을 만나듯이 다른 사람들도 다 이해관계를 따져보고 사람을 만난다는 걸 이해하면 이기적인 사람을 나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없으므로 사람 사이의 갈등이 대부분 줄어들게 된다. - 상대에게 불만스럽고 실.. 2020. 2. 1.
[책 정리] 중도의 길을 알려주는 직장 상사 - 법륜 스님의 행복 (피할 수 없다면 받아들여라. 중도라는 것은 상대가 적당하다고 하는 것에 내가 맞추는 것) -직장에서 갈등이 있을 때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첫쨰, 그런 상사와 같이 있지 않으면 된다. 사표를 내고 직장을 옮기는 것이다. 둘째, 그럴 수 없다면 받아들여야 한다. 농사에 비유하면, 종자는 괜찮은데 밭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 밭을 갈아엎든가, 아니면 다른 밭으로 옮겨야 하는데, 그럴 형편이 못 되거나 밭에 아쉬움이 남아있으면 내가 적응하는 수밖에 없다. - 중도라는 것은 상대가 적당하다고 하는 것에 내가 맞추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고 내가 줏대가 없거나 게으른 게 절대 아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지. 2020. 1. 31.
[책 정리] 남 보기 좋은 인생말고 - 법륜 스님의 행복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말고 너무 잘 보이려고 하지 말고 그냥 내 능력껏 하자) -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직장에 들어갔는데, 왜 이렇게 힘들어하는 걸까? 자기가 가진 능력은 적은데 과대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자신이 과소평가를 받으면 좀 섭섭하고 말지만, 과대평가를 받으면 처음에는 인정받는 것 같아 기분이 좋지만 조금 지나면 엄청난 스트레스가 쌓인다. 과대평가된 자신의 모습에 맞추려면 자기 능력보다 훨씬 힘들게 일해야 하니까. - 인생을 살 때 자신의 능력이 100이라면 바깥에 알릴 때는 아무리 많아도 80쯤만 알리는 게 좋다. 이것이 인생을 편안하게 사는 길이다. - 어떻게 해야 능력 평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을까? 첫째는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말고 너무 잘 보이려고 하지 말고 그냥 내 능력껏 하는 게 좋다. 내가 가진 능력보다 잘하려고 하니 긴장되고 힘이 드는 것.. 2020. 1. 30.
[책 정리] 행복한 결혼의 조건 - 법륜 스님의 행복 (배우자에게 맞추어 자기 권리의 절반을 포기할 각오가 되어 있는가?) - 결혼의 조건은 배우자에게 맞추어 자기 권리의 절반을 포기할 각오가 되어 있느냐이다. 즉 상대에게 맞출 준비가 되어 있느냐이다. - 가끔 만나는 사람이나 애인은 예쁘고 멋진 사람이 좋다. 하지만 오랫동안 함께 살려면 서로에게 맞춰줄 수 있고 이익을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2020. 1. 29.
[책 정리] 세상에 다 갖춘 사람은 없다. - 법륜 스님의 행복 (잘 맞추어 지내볼 생각을 하면 누구와도 인연을 맺을 수 있다) - 세상에 모든 걸 다 갖춘 사람은 없다. - 항상 사물에는 양면성이 있다. 그런데도 사람이 똑똑하기도 하고, 부드럽기도 하고, 착하기도 하고, 리더십도 있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건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남편이나 아내가 그러길 바란다. 다재다능하길 원한다. 부드러워서 좋다고 솜을 선택해놓고는 "왜 너는 대찬 데라곤 없니?" 하고 따지고, 날카로워서 좋다고 칼을 선택해놓고는 "왜 너는 부드럽지 않니?" 하고 따지는 격이다. -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 따라서 상대가 내 마음에 쏙 들지 않는다고 아쉬워할 게 아니라, '아, 다 갖춘 사람은 없구나. 세상은 공평하구나!' 이렇게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 산에 어디를 둘러봐도 베어다가 바로 기둥으로 쓰기에 좋은 나무는 없다. 아무리 튼튼하고 .. 2020. 1. 28.
[책 정리] 좋은 사람 vs 나쁜 사람 - 법륜 스님의 행복 (자기의 취향에 집착하면 사람들의 가치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알려고도 하지 않게 된다) - 결론은 내가 좋아하면 나에게는 좋은 사람이라는 거다. 그런데 누군가 그를 나쁘다고 생각하면 그 사람에게는 나쁜 사람이 된다. 그러니 보는 사람의 카르마에 따라 좋게 보이기도 하고 나쁘게 보이기도 하는 것이지, 그 사람 자체가 절대적으로 좋거나 나쁜 건 아니다. - 사람마다 대상을 좋다, 나쁘다 인식하는 틀이 다르다. - 우리가 흔히 좋은 사람이라고 할 때의 기준은 대부분 나에게 얼마나 잘해주는지 여부이다. 그리고 나에게 잘해주는 사람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이익이 되는 사람이다. 둘째, 내 생각에 따라주는 사람이다. 반면, 내가 싫어하는 사람은 그 반대가 되겠다. 결국 우리가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구분하려는 것은 자기 인식상의 문제를 객관화하려는 의도.. 2020. 1. 27.
반응형